심사 규정
제 정: 2022. 8. 18.
제 1조(심사의 주관)
-
학회지의 심사 작업은 편집위원회에서 주관한다.
-
연구논문은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이 게재 및 수정 여부를 결정한다.
-
심사위원은 심사대상 논문과 유관한 분야의 전문 학자로 한다.
-
연구논문 이외의 원고는 편집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.
제 2조(심사위원의 선정)
-
편집위원회는 각 투고 논문의 주제 및 내용 등을 참작하여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심사위원 3인을 위촉한다.
-
편집위원이 자신의 논문을 투고하였을 경우에는 편집위원장이 임시편집위원을 선정하여 심사위원을 위촉하도록 한다.
-
학회의 임원이 자신의 논문을 투고하였을 경우에는, 편집위원장이 임시편집위원을 선정하여 심사위원을 위촉하도록 한다.
-
사전심사는 본심사의 심사위원이 아닌 편집위원이 실시한다.
-
재심사는 본심사를 진행한 심사위원이 맡는다.
제 3조(심사절차)
-
논문의 심사는 본 학회지 주제 적합성을 심사하는 사전 심사와 내용을 심사하는 본심사의 절차로 진행된다. 단, 필요시, 본심사의 결과에 따라 수정 후 재심사를 진행한다.
-
편집위원장은 논문투고 마감일을 기준으로 7일 이내,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심사를 의뢰한다. 단, 투고자의 신원은 심사위원에게 밝히지 않는다.
-
심사위원으로 선정된 자는 심사 의뢰를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심사결과 및 심사소견을 편집위원회에 송부한다. 선정된 심사위원이 불가피한 사정으로 논문심사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즉시 편집위원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.
-
모든 논문의 심사결과는 논문투고 마감일을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투고자에게 통보한다. 단, 심사자의 신원은 밝히지 않는다.
제 4조(심사기준)
-
사전심사의 기준은 본 학술지의 논문이 주제범위에 부합하는지 여부, 작성자의 투고자격 여부, 원고 편집이 본 학술지의 편집요건에 부합하는 지 여부 등을 기준으로 하여 심사 적부판단을 한다.
-
본심사의 기준은 ‘연구주제의 참신성(10점)’, ‘연구목적의 명료성(20점)’, ‘연구방법의 타당성(20점)’, ‘관련문헌과 자료분석의 충실성(10점)’, ‘논문의 체계성(10점)’, ‘초록의 적확성(10점)’, ‘이론적/실천적 기여도(20점)’로 한다.
-
재심사의 기준은 심사위원이 작성한 본심사 제출의견에 의거한다.
제 5조(게재판정)
-
학술지에 게재할 논문은 편집위원회가 위촉한 심사위원 3인으로부터 심사를 받고 이를 통과하여야 한다.
-
심사판정은 ‘게재가’, ‘수정 후 게재가’, ‘수정 후 재심사’, ‘게재불가’로 한다.
-
‘수정 후 게재가’, ‘수정 후 재심사’ 판정을 받는 경우, 해당 논문은 1회의 재심사를 포함할 수 있다.
-
3명의 심사위원의 본 심사 판정에 따라 다음의 표와 같이 판정한다.
※ 논문심사는 편집위원장의 별도 의견이 없는 경우 1차 심사자가 논문심사 완결시까지 동일한 심사자로 진행한다.
5. 재심사에서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이 ‘게재가’로 판정할 경우 ‘게재가’로 최종 판정하고 당 호에 게재하나, 게재불가 판정이 포함된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최종결정에 따라 게재여부를 결정한다.
6. 재심사에서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이 ‘수정 후 게재가’ 로 판정할 경우 ‘게재가’로 최종 판정하고 당 호에 게재하나, 게재불가 판정이 포함된 경우에는 편집위원회의 최종결정에 따라 게재여부를 결정한다.
7. 재심사에서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이 ‘게재불가’ 혹은 ‘수정 후 재심의’로 판정할 경우 판정을 받은 논문의 경우 ‘게재불가’로 최종 판정한다.
8. 위에서 논의된 이외의 경우, 편집위원회의 최종결정에 따라 게재여부를 결정한다.
부 칙
제 1조(시행)
본 규정은 202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.
